수목생리·생태·육종학 연구실
- 숲을 이루는 식물인 수목은 개체로서 여러 모습으로 생장하고 집단, 군집과 같은 다양성을 이루며 다양한 생육환경에서 영향을 받거나 또는 서로 영향을 주며 살아간다. 수목생리학은 산림식물 중 수목이 종자로부터 성목이 되어 자라나는 기본원리를 연구하고 생육하는 환경과 다른 식물들과의 관계인 생태계 내에서 수목의 생장, 쇠퇴 등의 생리학적인 반응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수목의 건강성을 지켜 산림생산을 증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유용한 산림자원의 특성을 발굴하고 보다 유전적으로 우수한 형질로 개량하는 임목육종학은 수목생리학과 함께 조림학의 기본이 된다.
- 현재 우리 연구실에서는 기후변화에 따라 산림 또는 도시의 수목의 반응과 생장 변화를 형태학적, 생리학적 및 표현학적으로 관찰하여 수목의 건강성을 증진시키는 연구와 함께 유용한 식물자원의 대량증식을 위해 종자, 성목의 생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기내조직배양법과 전통적인 육종학방법으로 우수한 유전자원들을 장기간 보존하고 재생하기 위해 종자와 영양체를 보존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산림청 산림생물자원관리기관으로 지정되어 강원도 특산식물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 Interested in the tree’s response to the various stress, drought, temperature, diseases and so on and improve the adaptability in the changing forest ecosystem. Investigated the morphological, physiological, and phenotypic responses of the trees to the stresses, and the mass-propagation system of valuable woody plant species for reforestation or endangered and rare species by traditional methods and in vitro culture including cryopreservation of genetic resources.
조직배양과 초저온저장법을 이용한 노령목 유전자원보존 연구
-
강원도 특산식물 개느삼
-
자생지
-
기내배양 - 다경유도
-
기내배양 - 부정아유도
-
-
한국자생식물 - 왕벚나무
-
자생지
-
기내배양
-
엽록체 유전자지도
-